드라마

정우성 X 배두나 X 공유 넷플릭스 시리즈 고요의 바다 (THE SILENT SEA, 2021)의 회차정보ㅣ 등장인물 정보

동백꽃2002 2021. 12. 28. 12:09
반응형

 

정우성 X 배두나 X 공유  넷플릭스 시리즈 고요의 바다 (THE SILENT SEA, 2021)의 회차정보ㅣ 등장인물 정보

 

고요의 바다 (THE SILENT SEA, 2021)
SF, 미스터리, 판타지, 스릴러
공개일 2021년 12월 24일
공개 회차 8부작
러닝타임 351분 (5시간 51분)
원작은 드라마의 연출자인 최항용 감독이 졸업작품으로 만든 단편 영화 '고요의 바다'이다.

 

제작자

정우성
출생 1973년 4월 22일 (48세)
국적 대한민국 
신체 186cm, 80kg
직업 배우, 영화 감독

 

 

각계 전문가들이 한 팀이 되어 달 탐사선에 오른다. 임무는 폐돼된 연구기지에서 24시간 안에 중요 샘플을 회수하는것. 대원들은 비밀에 잠긴 이 위험천만한 기밀 미션을 완수할 수 있을까.

 

폐쇄된 달 기지, 생존확률 10%의 미션
대원들이 살해되기 시작했다

SF 미스터리 스릴러

<고요의 바다> 오직 넷플릭스에서!

 

 

 

 

회차 정보

에피소드 1. 발해기지 - 최 국장 주재로 탐사 임무에 관한 브리핑이 열린다. 모든 걸 쉬쉬하는 분위기에 불쾌해진 송지안. 마침내 탐사대가 달을 향해 출발하지만, 연구 기지에 도달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

 

에피소드 2. 세 개의 저장고 - 기지에서 새로운 사실을 하나둘씩 발견하는 대원들. 그런데 전해 들은 얘기와 왜 이리 다른 것일까. 얼마 후, 대원들은 세 명씩 한 팀을 이루어 샘플을 찾아 나선다.

 

에피소드 3. 죽음의 이유 -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긴박한 순간이 지안의 블랙박스에 찍힌다. 한편 땀에 흠뻑 젖은 채 쓰러진 공수찬. 그가 보이는 기이한 증상에 모두가 충격을 금치 못한다.

 

에피소드 4. 드러나는 진실 - 한윤재는 최 국장에게 현재 상황을 보고하고, 통제 구역에 대한 접근을 허가받는다. 샘플의 가공할 위력을 알게 된 대원들. 대체 이번 임무의 진짜 의도는 무엇인가.

 

에피소드 5. 비밀 저장고 - 언니의 암호 메세지에서 본 단어 '루나'. 지안은 '루나'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해본다. 어둠 속에서 어린 침입자가 발견된 가운데, 곧이어 배신자도 실체를 드러낸다.

 

에피소드 6. 구원의 열쇠 - 이투와 류태석이 샘플과 함께 자취를 감춘다. 침입자의 옷에서 친숙한 이름을 발견한 지안. 답을 찾으려는 지안은 환기구를 따라 침입자를 쫓는다.

 

에피소드 7. 루나 - 지안이 우연히 손에 넣은 하드 디스크. 그 속엔 기지에서 활동할 당시 송원경의 생활과 업무가 기록되어 있다. 그 사이, 다른 대원들은 실험의 '흔적'을 발견한다.

 

애피소드 8. 고요의 바다 - 1분 1초가 아쉽다. 기지가 파괴되기 직전의 상황. 살아남은 대원들은 이제 이번 임무의 운명을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그들 자신의 운명까지도.

 

 

 

등장인물

배두나 : 송지안 역 - 우주생물학자였다가 동물행동학자로 일하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물을 마음껏 먹을 수 있는 '골드' 등급을 가지고 있다. 언니가 하나 있었는데, 5년 전 발해기지 방사능 누출 사고로 희생되었다는 소식을 듣는다. 언니가 보낸 메일에서 '루나를 찾아라'라는 메시지를 발견하고 팀에 합류한다.

 

공유 : 한윤재 역 - 우사관학교 수석 입학, 수석 졸업의 엘리트 군인 출신이다. 작중 초반부에는 주어진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고자 하는 꽉 막힌 군인 캐릭터의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위험한 임무에 자신이 목숨을 걸고 직접 자원하는 등, 희생 정신도 갖춘 인물이다. 아픈 딸이 하나 있다.

 

이준 : 류태석 역 - 수수께끼의 국방부 엘리트 출신 수석 엔지니어. 계급은 대위로 작중에서는 '류 대위'라는 호칭으로 더 불린다. 통신담당 대원으로 직접 이 임무에 자원했다.

 

김선영 : 홍가영 역 - 탐사대 팀 닥터.

 

이무생 : 공수혁 역 - 탐사대 보안팀장.

 

 

예고영상

https://youtu.be/6rn-TRf1p6s

 

 

반응형